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계 초고층 건물 순위를 알아보자 TOP7

by 프리노믹 2024. 11. 7.
반응형

 
세계 각 국은 나라 수도의 상징이자 랜드마크인 고층건물을 짓기도 하는데, 현대적인 디자인과 기술을 용합 하여 만들어지며 건물 내부에는 쇼핑, 영화, 푸드, 아쿠아리움 등 다양한 여가시설들이 있기도 합니다.
초고층 건물 7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부르즈 할리파

 
국가 및 도시: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완공: 2010년
높이:828m (163층)
 
스키드모어, 오윙스 앤 메릴이 설계했으며 삼성물산이 시공에 참여하였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엘리베이터, 가장 높은 전망대이며 상업 및 주거 용도로 사용됩니다.
 
1970년대 이전은 이와 같은 초고층 건물에는 철골을 사용하였습니다. 다만 부르즈 할리파에서는 삼성물산이 개발한 150 MPa 초강도 콘크리트를 사용됐습니다.
첨탑 구조와 테이퍼 형태를 적용하여 바람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메르데카 118

 
국가 및 도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완공: 2022년
높이:678.9m (118층)
 
호주 건축회사인 펜더 캣살리디스가 설계, 삼성물산이 시공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이며  다이아몬드 모양의 외관을 자랑하며  오피스, 호텔을 갖춘 복합 빌딩입니다.
 
메르데카 118은 말레이시아 독립을 기념하기 위해 이러한 이름을 붙였고 또 흥미로운 점은 건물의 외관이 말레이시아 초대 총리의 독립선언 때의 손가락 모양에 영감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상하이 타워

 
국가 및 도시: 중국, 상하이
완공: 2015년
높이:632m 128층
 
설계는 Gensler가 시공은 상하이건공집단이 하였으며 중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360도 회전형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속 74km의 엘리베이터를 보유하였고 레스토랑, 상업 시설, 호텔 등 종합적인 문화 공간이 있습니다.
 
 
 

 아브라즈 알바이트 클럭 타워

 
국가 및 도시: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완공: 2012년
높이:601m 120층
 
설계는 다르 알한다사이며 이 회사는 이슬람 건축양식을 토대로 현대적 디자인을 결합하여 설계를 진행하였습니다. 시공은 사우디 빈라덴 그룹이 하였습니다.
 
메카에 있어서인지 성지순례자들을 위한 호텔, 박물관 기도 공간을 갖추고 있고 건물 꼭대기에는 거대한 시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건물 내 박물관에는 이슬람 문화를 기리는 전시품들이 전시되었습니다.
 
 
 

핑안 국제금융센터

 
국가 및 도시: 중국, 선전 
완공: 2017년
높이:599m 115층
 
설계는 미국 건축회사인 콘 페더슨 폭스가 시공은 중국건축공정총공사이며 핑안 국제 생명보험이 이 건물의 소유주입니다. 중국 경제성장을 상징하고 오피스와 금융 센터로 활용됩니다. 선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고층 건물들과 함께 어우러져 멋진 스카이라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롯데월드타워

 
국가 및 도시: 대한민국, 서울
완공: 2016년
높이:555m 123층
 
설계는 미국의 건축사 콘 페더슨 폭스가 시공은 롯데건설에서 맡았으며 한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쇼핑몰, 레지던스, 호텔, 전망대들 다양한 시설들이 들어서있고 건물 상층부엔 서울스카이라는 전망대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유리바닥 전망대입니다.
친환경적인 설계를 통한 에너지 효율을 높였고 서울의 랜드마크이자 서울의 현대적인 모습을 상징합니다.
 
 
 

원월드 트레이드 센터

 
국가 및 도시: 미국, 뉴욕
완공: 2014년
높이:541.3m 104층
 
설계는 스키드모어 오윙스 & 메릴사가 설계를  시공은 마찬가지로 미국 회사인 티쉬만 건설이 하였습니다. 
911 테러로 붕괴된 세계 무역센터 자리에서 재건된 건물로 자유의 탑이라고도 불립니다.
104층의 전망대에서 뉴욕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고  강력한 보안시스템과 첨단 기술이 적용됩니다.
 
 
오늘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7순위를 알아보았습니다. 각 건물들은 특별한 상징이 있거나 각국의 수도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서 그리고 인프라의 중심으로서 초고층 건물이 그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