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아볼 것은 우리가 분석하고싶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지표들의 뼈대 지표라고 할수있어요.
EPS는 PER을 그리고 BPS는 PBR을 CPS는 PCR 이처럼 각각 뼈대가 되는 지표들이여서 이것 부터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 .
EPS
EPS라는 것은 기업의 1주당 순 이익을 뜻해요. 기업의 현재 1주당 가격이 얼마나 큰 당기순이익을 가져올수있냐 라는 의미라고 보시면 되요.
EPS= 당기 순이익/총 주식수
총 주식의 수 대비해서 기업의 당기순이익이 증가한다면 EPS가 커지겠죠? 그래서 EPS가 큰기업이 적은 기업 보다는 좋은거죠.
인위적으로 주식의 발행수를 줄이는 액면병합을 한다면 EPS값이 올라가고
인위적으로 주식 발행수를 늘리는 액면분할이라던지 유상증자,무상증자를 한다면 총 주식수가 증가해서 EPS값이 떨어져요.
가장 좋은건 그냥 기업이 돈을 잘 벌어서 당기순이익 상승을 통한 EPS증가가 좋겠죠.
BPS
BPS는 기업의 1주당 순 자산가치를 뜻해요. 그래서 기업의 총 자산에서 부채를 뻈을 때 기업의 순자산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기업이 주당 어느정도의 순자산을 가지느냐라고 보면 되는거에요. 어떻게 BPS를 계산할까요?
BPS=순자산/총 주식수
바로 순 자산을 총 주식수로 나누면 되요. 총 주식수가 증가하면 bps의 값이 작아지고 반대로 감소하면 상대적으로 순자산이 큰것이기 때문에 BPS값은 올라가게되요.
기업의 순자산이 늘어나면 BPS값이 오르고 기업의 자산이 줄어들면 BPS값이 당연히 작아지겠죠.
CPS
CPS는 1주당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어떤지 보는거에요. 현금흐름은 기업이 영업,투자,재무활동을 통해서 현금 유입,유출되는 것을 말해요. 이중에서 영업활동을 통해서 얻은 현금흐름을 1주로 따져보는거에요.
CPS=영업현금흐름/총 주식수
CPS는 영업에 사용된 현금흐름이 높으면 CPS가 높아지고 반대로 사용된 현금흐름이 낮으면 CPS가 낮아지게되요.
CPS값이 높다면 영업현금흐름이 높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함께 추천드리는 글
2022.10.12 - [경제용어] - 이제는 기업의 필수 요소인 탄소중립, ESG경영은 무엇일까?
이제는 기업의 필수 요소인 탄소중립, ESG경영은 무엇일까?
과거와 달리 현재 기업의 탄소 배출량에 대한 문제는 많은 국가와 사람들에게 큰 화두가 되고 있고 비로소 ESG경영이라는 것이 생기게 된다. 탄소중립 탄소중립은 대기중에 배출시킨 이산화탄소
information-001.tistory.com
2022.10.11 - [경제용어] - 금리와 환율에 대한 쉽게 푼 이야기, 금리와 환율의 관계
금리와 환율에 대한 쉽게 푼 이야기, 금리와 환율의 관계
뉴스에서 금리와 환율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미국 연준에서 3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결정한다. 우리나라도 빅 스텝을 밟으면 10년 만에 다시 기준금리 3% 시대를 열게 된다와 같은 말들이
information-001.tistory.com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스와프의 뜻과 설명 글 (0) | 2022.10.25 |
---|---|
공매도와 숏커버링의 뜻 (0) | 2022.10.24 |
PER,PBR,PCR 주식 지표에 대한 설명 글 (0) | 2022.10.13 |
이제는 기업의 필수 요소인 탄소중립, ESG경영은 무엇일까? (0) | 2022.10.12 |
금리와 환율에 대한 쉽게 푼 이야기, 금리와 환율의 관계 (0)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