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PER,PBR,PCR 주식 지표에 대한 설명 글

by 프리노믹 2022. 10. 13.
반응형

주식이라는 자산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하잖아요. 해당 기업이 무슨 사업을 하는지 재무제표가 어떤지를 말이에요. 오늘은  그중에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중요한 지표인 PER,PBR,PCR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도록해요.

 

이 글을 보기 앞서 아래의 이전 글을 읽으시면 좋아요.

2022.10.13 - [경제용어] - EPS,BPS,CPS 각 지표의 뜻이 무엇일까요?

 

EPS,BPS,CPS 각 지표의 뜻이 무엇일까요?

우리가 알아볼 것은 우리가 분석하고싶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지표들의 뼈대 지표라고 할수있어요. EPS는 PER을 그리고  BPS는 PBR을 CPS는 PCR 이처럼 각각 뼈대가 되는 지표들

information-001.tistory.com

 

PER

PER(Price Earning Ratio)는 주가 수익 비율이에요. 회사의 주가가 1주당 수익률의 몇 배가 되느냐를 의미해요.

 

PER= 1주당 가격 / 주당순이익(EPS)

 

주당 순이익(EPS)은 기업의 순이익을 총 주식수로 나누어서 1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이 창출되느냐를 보는거에요. 

그리고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면 PER 즉 주가 수익 비율이 나오게되요.

 

PER이 적어야 분모인 주당 순이익이 커져서 주가 수준 대비하여 주당 순이익이 높은 꼴이 되겠지요??

그래서 PER 적은 기업이 주가 대비 이익을 많아서 저평가 되어서 좋다고 말하는거에요.

 

 


PBR

PBR(Price Book-value Ratio)는 주가 순자산 비율이에요. 1주당 가격 대비해서 1주당 순자산이 어느정도 되냐를 의미해요.

 

PBR= 1주당 가격 / 1주당 순자산(BPS)

 

1주당 순자산(BPS)의 가치가 높아지면 PBR이 낮아지면서 현재 주가 대비해서 주당 순자산이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PBR이 낮은 주식이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가 될수있어요. 


PCR

PCR(Price Cash Flow Ratio)는 주가 현금흐름 비율이에요. 회사의 주가 대비해서 1주당 현금흐름이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보는거에요. 

 

1주당 가격 / 1주당 현금흐름(CPS)

 

1주당 현금흐름(CPS)이 높아지면 PCR이 낮아지게 되고  이는 현재 주가 대비해서 현금흐름이 많이 발생한다는 뜻이에요. 그렇기 떄문에 PCR이 낮은 주식은 주가의 수준에 비해 현금흐름이 많이 발생된다는 의미가 되요.

 

함께 추천드리는 글

 

2022.10.13 - [경제용어] - EPS,BPS,CPS 각 지표의 뜻이 무엇일까요?

 

EPS,BPS,CPS 각 지표의 뜻이 무엇일까요?

우리가 알아볼 것은 우리가 분석하고싶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지표들의 뼈대 지표라고 할수있어요. EPS는 PER을 그리고  BPS는 PBR을 CPS는 PCR 이처럼 각각 뼈대가 되는 지표들

information-001.tistory.com

2022.10.12 - [경제용어] - 이제는 기업의 필수 요소인 탄소중립, ESG경영은 무엇일까?

 

이제는 기업의 필수 요소인 탄소중립, ESG경영은 무엇일까?

과거와 달리 현재 기업의 탄소 배출량에 대한 문제는 많은 국가와 사람들에게 큰 화두가 되고 있고 비로소 ESG경영이라는 것이 생기게 된다. 탄소중립 탄소중립은 대기중에 배출시킨 이산화탄소

information-001.tistory.com

댓글